안녕하세요. 언리얼 엔진을 공부하고 있는 마네마네라고 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기본적인 세팅과 프로젝트 생성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예제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프로젝트 파일은 출판사 홈페이지를 가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acornpub.co.kr/book/unreal-c
이득우의 언리얼 C++ 게임 개발의 정석
언리얼 엔진 학습에 목말라하는 게임 개발자에게 단비 같은 언리얼 엔진 프로그래밍 책이다.
www.acornpub.co.kr
들어가시면 파일다운로드를 누르시면 됩니다.

다운로드를 받으시고 압축을 풀면 해당 폴더들이 있습니다. 사진을 잘보시고 경로를 따라와주시면 됩니다.



예제 에셋 2개를 만들었던 프로젝트에 Content/Book/Static_Mesh 폴더로 복사해서 옮겨줍니다.

옮기면 언리얼 에디터안에서도 에셋들이 나타납니다.
에셋들이 보이면 파일 > 새 레벨 > Defualt 를 눌러 새로운 레벨을 생성해줍니다.



새 레벨을 생성하게 되면 바닥있는 레벨이 생성되게 됩니다.

해당 레벨에 예제 에셋을 드래그해서 옮겨줍니다. 일단 바닥과 맞닿게 해서 생성해 줍니다.
그러면 위치기 안 맞을 텐데 좌표를 보여주는 곳에서 화살표 모양을 눌러 위치를 초기화 시켜줍니다.


그럼 x, y, z가 0, 0, 0 으로 바뀐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탭에서 floor를 눌러 제거해줍니다.

제거하면 방금 생성한 SM_Square 만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 왼쪽 상단에 라이팅을 다시 빌드해야 한다는 빨간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메시지는 Light Source를 무버블로 바꿔주면 해결됩니다.


플레이를 누른 모습이다.

플레이가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한 후 해당 레벨을 저장해 주도록 합니다.
저장 방법은 현재 레벨 저장을 누르시고 Book/Maps 폴더 안에 저장해 주도록 합니다.


저장을 하면 폴더에 레벨이 저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장한 레벨을 에디터를 실행할 때마다 바꿔주려면 귀찮기떄문에 실행 시 기본이 되는
레벨로 바꿔주도록 합니다.


여기까지 예제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에 대한 설명이였습니다.
'언리얼 엔진 > [책] 이득우의 언리얼 C++ 게임 개발의 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챕터2] 액터의 설계 (0) | 2021.01.24 |
---|---|
[챕터1] 예제 프로젝트 생성 및 예제 패키지 추가 (0) | 2021.01.23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비주얼 스튜디오 2019 작업환경 설정 (0) | 2021.01.22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언리얼 엔진 4 C++ 프로젝트 생성 (0) | 2021.01.22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비주얼 스튜디오 2019 설치 (0) | 2021.01.22 |
안녕하세요. 언리얼 엔진을 공부하고 있는 마네마네라고 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기본적인 세팅과 프로젝트 생성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예제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프로젝트 파일은 출판사 홈페이지를 가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acornpub.co.kr/book/unreal-c
이득우의 언리얼 C++ 게임 개발의 정석
언리얼 엔진 학습에 목말라하는 게임 개발자에게 단비 같은 언리얼 엔진 프로그래밍 책이다.
www.acornpub.co.kr
들어가시면 파일다운로드를 누르시면 됩니다.

다운로드를 받으시고 압축을 풀면 해당 폴더들이 있습니다. 사진을 잘보시고 경로를 따라와주시면 됩니다.



예제 에셋 2개를 만들었던 프로젝트에 Content/Book/Static_Mesh 폴더로 복사해서 옮겨줍니다.

옮기면 언리얼 에디터안에서도 에셋들이 나타납니다.
에셋들이 보이면 파일 > 새 레벨 > Defualt 를 눌러 새로운 레벨을 생성해줍니다.



새 레벨을 생성하게 되면 바닥있는 레벨이 생성되게 됩니다.

해당 레벨에 예제 에셋을 드래그해서 옮겨줍니다. 일단 바닥과 맞닿게 해서 생성해 줍니다.
그러면 위치기 안 맞을 텐데 좌표를 보여주는 곳에서 화살표 모양을 눌러 위치를 초기화 시켜줍니다.


그럼 x, y, z가 0, 0, 0 으로 바뀐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탭에서 floor를 눌러 제거해줍니다.

제거하면 방금 생성한 SM_Square 만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 왼쪽 상단에 라이팅을 다시 빌드해야 한다는 빨간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메시지는 Light Source를 무버블로 바꿔주면 해결됩니다.


플레이를 누른 모습이다.

플레이가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한 후 해당 레벨을 저장해 주도록 합니다.
저장 방법은 현재 레벨 저장을 누르시고 Book/Maps 폴더 안에 저장해 주도록 합니다.


저장을 하면 폴더에 레벨이 저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장한 레벨을 에디터를 실행할 때마다 바꿔주려면 귀찮기떄문에 실행 시 기본이 되는
레벨로 바꿔주도록 합니다.


여기까지 예제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에 대한 설명이였습니다.
'언리얼 엔진 > [책] 이득우의 언리얼 C++ 게임 개발의 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챕터2] 액터의 설계 (0) | 2021.01.24 |
---|---|
[챕터1] 예제 프로젝트 생성 및 예제 패키지 추가 (0) | 2021.01.23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비주얼 스튜디오 2019 작업환경 설정 (0) | 2021.01.22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언리얼 엔진 4 C++ 프로젝트 생성 (0) | 2021.01.22 |
[챕터1] 개발 환경 설정 - 비주얼 스튜디오 2019 설치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