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단위
-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장보 단위를 비트(bit) 라고 한다.
- 바이트(byte)는 여덟 개의 비트를 묶은 단위이다.
이진법
- 이진법은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을 하여 0과 1만으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 이진법에서 음수는 2의 보수로 표현할 수 있다.
- 2의 보수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수를 그보다 큰 2n에서 뺀 값'을 의미한다.
1011
0100 // 모든 0과 1을 뒤집는다.
0101 // 그리고 1을 더한다.
- 컴퓨터 내부에서 어떤 수를 다룰 때는 이 수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구분하기 위해 플래스(flag)를 사용한다.
십육진법
- 수가 15를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을 하는 숫자 표현 방식이다.
- 십진수 10,11, 12, 13, 14, 15를 십육진법 체계에서는 각각 A, B, C, D, E, F로 표기한다.
십육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기
- 십육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간편한 방법 중 하나는 십육진수 한 글자를 4비트의 이진수로 간주하는 것이다.
- 즉, 십육진수를 이루고 있는 각 글자를 따로따로 (4개의 숫자로 구성된) 이진수로 변환하고, 그것을 그대로 이어 붙이면 십육진수가 이진수로 변환된다.
1A2B(16) //
1/A/2/B // 글자를 따로따로 이진수로 변환한다
0001/1010/0010/1011(2)
1A2B(16) = 0001101000101011(2)
이진수를 십육진수로 변환하기
- 이진수를 십육진수로 변환할 때는 이진수 숫자를 네 개씩 끊고, 끊어 준 네 개의 숫자를 하나의 십육진수로 변환한 뒤 그대로 이어 붙이면 된다.
11010101(2) // 이진수
1101/0101
D/5
D5(16) = 11010101(2)
십육진수는 프로그래밍할 때 이진수와 더불어 자주 사용되므로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개발 분야에서는 코드에 십육진수를 직접 쓰는 경우도 더러 있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도서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0) | 2022.12.04 |
---|